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 사표가 그 사표가 아닌디...💢 지적기술사 기출'사표'

by 다퍼주는 손과장 2024. 1. 19.
728x90
반응형

직장인이라면

누구가 가슴에

사표 한장은 품고 살죠.

저도 지금 근무하고 있는

LX한국국토정보공사에

입사한지 6개월만에

그만둘려는 마음을 먹은적이

있습니다.

(현장에서 측량하는게

너무 힘들어서요..;;;)

그런데 버티고 버텼더니

어느세 17년차네요..ㅎㅎㅎ

이제 먹여살릴 입이 많아져서

회사 그만둘 생각은 쏙들어 갔죠.

 

오늘의 이야기는

사표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사실 그 사표가

그 사표가 아닙니다.

ㅎㅎㅎㅎ

오늘의 주인공

사표(四標)는 동서남북

네 방향을 표시한다 해서

사표 인데요.

고려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

사용되었던

토지의 위치를 기록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내땅과 붙어있는

네 방향의 땅들의

소유자, 형태, 지목 등을

기록한것이지요.

그냥 사직서 사표와

발음이 같아서

시작을 사직서로 해봤습니다

ㅎㅎㅎㅎ

사표는

지적도가 도입되기 전까지

꽤 오랫동안

우리의 땅을 장부에

표시하는 방법이었죠.

지적기술사 기출문제이기도 하니

수험생분들은 꼭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오늘의 지적기술사 기출문제

'사표'

바로 퍼드립니다.

Start!!


문 사표

답 사표란 고려, 조선시대의 토지 도면으로 필지의 위치 및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토지의 동서남북 인접지의 현황과 개략적인 토지형태를 기록한 도면으로 현대의 지적도와 유사한 역할을 했으며, 지상경계점등록부와도 같은 기능을 한다.

  1. 사표의 기원

1) 사표는 통일신라시대 진성여왕 5년이 기원이다.

2) 통일신라시대 개선사, 고려시대 정두사 석탑조성기 등에서 기록을 찾을 수 있다.

3) 광무양안까지 기록되어 있으나, 1909년 토지신고서부터 사표는 기재하지 않았다.

2. 사표의 특징

1) 사표도면 하나로 4필지 이상의 지적등록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2) 동서남북 인접지의 토지소유자, 지목, 양전방향, 토지형태 등을 기록했다.

3) 토지매매로 인접지 소유자 변경시 혼란을 줄 수 있었다.

4)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경세유표'를 통해 사표와 일자오결제의 부정확성을 지적했다.

3. 사표와 지상경계점등록부

1) 사표는 현재 '공간정보 구축 및 관리등에 관한 법률'제 65조에 의한 지상경계점등록부와 성격이 유사하다.

2) 사표와 지상경계점등록부는 모두 경계의 공시·관리라는 목적이 있다.

3) 지상경계점등록부는 토지소재, 지번, 경계점사진, 경계점위치설명도 등을 기록한다.

"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