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적기술사 단답형 기출문제 풀이 '법수'

by 다퍼주는 손과장 2024. 3. 29.
728x90
반응형

단군할아버지는

왕이었죠.

그리고 왕은 나라를 잘 다스릴

의무가 있습니다.

나라를 잘 다스리기 위해서는

세금이 꼭 필요하구요.

그래서 단군할아버지의 세금 걷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를 예전에 한적이 있죠.

바로 '정전제'

https://blog.naver.com/hihiheho/223289161302

그런데,

세금을 걷기위해서는

어디까지가 세금내는 땅인지

알고 있어야 겠죠?!

내가 가진 땅보다 세금을

많이 낸다면

빡치니깐요.

 

현대에서 토지분쟁중

가장 많이 생기는 분쟁도

바로 이 경계분쟁이거든요.

그래서 우리의 단순 할아버지는

땅의 경계를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지금 시대로 말하면

경계점표지죠.

아마 길가다가 한번쯤 보셨을 거에요.

하지만 고조선 시대에는

그 사이즈가 남달랐습니다.

단군할아버지는 토지의 경계를

표시할 때 '법수'라는걸

사용했는데

이게 나중에는 장승으로 발전했습니다.

 

사이즈가 어마어마하죠?!

그럼 오늘의 지적기술사

기출문제 '법수'

모의답안지 바로 퍼드립니다.

START!!


문 법수

답 법수란 고조선시대 토지제도인 정전제에서 토지의 구획을 위한 경계표지로 사용된 나무를 일컫는 말로 조선시대 마을의 구획 및 수호신의 역할을 했던 장승의 출발점 이기도 하다.

  1. 정전제

1) 고조선시대 지적제도라 할 수 있는 제도로 토지를 井자로 9등분 구획

2) 9개 토지중 가운데 1개는 공전, 주위 8개는 사전이며, 공전은 공동경작 후 세금 납부

3) 토지구획은 100묘 단위로 900묘마다 1개의 공전이 존재

4) 토지구획 기준에 나무말목(법수) 설치

<그림. 정전제 개념도>

2. 법수의 특징

1) 초기에는 나무로 표시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돌로도 표시

2) 마을과 마을, 부족과 부족간의 경계 역할

3)나무에 수호신의 얼굴을 새겨 장승으로 발전했으며, 마을 수호 역할 수행

3. 법수와 경계점표지

1) 법수는 현대의 경계점 표지와 그 역할이 유사

구분
설치장소
규격(폭/길이)
목재
비포장
3.5cm/35cm
철못1호
아스팔트
4.5cm/15cm
철못2호
콘크리트
4.5cm/7.5cm
철못3호
구조물 등
4.5cm/3.8cm

<표. 경계점 표지의 종류>

"끝"

728x90
반응형